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상증자는 무엇인가? 발행 절차는?
    Money 2020. 9. 30. 23:50

    안녕하세요

    K_아재 입니다

     

    이번엔 무상증자는 무엇인지?

    발행 절차는?

    에 대해서 포스팅 해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하는거라

    유상증자, 무상증자

    둘은 비슷한 점이 많아요

    단순 재원의 차이로 볼수도 있지만 조금 알아볼까요

     

    상증자란?


    "

    무상증자는 증자를 하되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주주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방식이다.

    돈을 받지 않으면 어떻게 주식을 발행할까?

    이는 회계장부의 숫자를 옮기는 것만으로 가능하다.

    무상증자를 알기 위해선 회계상 기업의 자산을 이해해야 한다.

    자산은 크게 자본(자기자본)과 부채(타인자본)로 나뉜다.

    이 중 자기자본은 다시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구성된다.

    자본금이란 주식 발행을 통해 모은 사업자금으로 주식수에 액면가를 곱해 계산할 수 있다.

    잉여금은 자본금을 종자돈으로 사업을 벌여 거둬들인 이익이다.

     

    결국 무상증자란 잉여금에 담긴 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일이다.

    잉여금에 담긴 돈을 일부 꺼내 그만큼 주식을 발행한 뒤

    기존 주주들이 가진 지분에 비례해 주식을 나눠주면 잉여금은 줄어들고 자본금은 늘어난다.

    당연히 자기자본의 총액은 변함이 없다.

    유상증자처럼 외부의 돈을 끌어와 자본금을 불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 10만주를 발행해 자본금 규모 5억 원인 회사가 있다고 하자.

    이 회사에는 100명의 주주가 있고, 각 주주들은 동일하게 1000주씩을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10% 무상증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10% 무상증자를 위해선 자본금의 10% 규모인 5000만원을 잉여금에서 자본금으로 옮겨야 한다.

    이 경우 잉여금은 5000만원 줄고, 자본금은 그 금액만큼 늘어난다.

    5000만 원어치의 주식 1만주(액면가 5000원)를 발행해 100명의

    주주에게 100주씩 공짜로 나눠주면 무상증자는 완료된다.

    "

    요약하면...

    무상증자는 회사의 순자산에는 아무런 변화를 가져오지 않고 준비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자본금으로 변하는 대차대조표상의 항목변경에 지나지 않으며 자본금으로

    변하는 금액을 액면가로 나눈 수만큼의 신주 발행이 이루어지는 증자를 말한다.

     

    그럼 무상증자는 왜 하는것일까요?

     

    회사의 자본구성을 시정

    사내 유보규모의 적정화

    주주에 대한 이익의 환원

    주식의 유동성 확보

    자본금의 증가를 통한 대외 신용도 제고등 회사의 경영전략 또는 재무정책상의 목적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무상증자 재원에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음은 무상증자 철차에 대해 알아볼게요

     

     

    무상증자 절차

    신주발행에 관한 이사회 또는 주주총회 결의 (상법 제461조)

    이사회 결의로 가능하나 예외적으로 회사의 정관에 준비금의 자본전입에 관하여 주주 총회에서 결의하도록 규정한 경우에만 주주총회에서 결의하여야 한다.

    이사회 결의내용 신고 및 공시

    회사는 이사회 결의 내용을 금융위원회와 거래소에 신고하여야 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관한법률 제161조,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7조, 코스닥공시규정 제6조)

    무상주 배정기준일 및 명의개서 정지 기간 설정 공고

    공고시기 : 신주배정기준일로부터 2주간(15일)전

    공고내용 : 무상주 배정내용 및 명의개서 정지 기간

    공고명의 : 발행사와 명의개서대행기관 연명

    무상증자 계획통보

        회사는 당행에 무상증자 계획을 통보한다.
        위탁회사에 다음과 같은 서류를 받아야 한다.

        무상증자 계획에 따른 신주권발행 계획 문서

        이사회의사록 사본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신주배정기준일 및 명의개서정지 기간 공고 사본 1부

         

        주요점검사항

        자본에 전입할 금액과 재원

        자본전입에 따른 신주 발행에 관한 사항

    배당소득세 원천징수

    • 무상주를 교부할 때에는 무상주 배정에 대한 소득세 및 주민세를 원천징수 하여야 한다. 단, 상법 제459조에서 정하는 자본준비금 및 재평가적립금을 전입하는 경우는 예외이다. (소득세법 제26조)
    • 원천징수의무자는 원천징수한 소득세를 그 징수일에 속하는 달의 다음달 10일까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원천징수 관할세무서, 한국은행 또는 체신관서에 납부하여야한다. (소득세법 제128조)

     

     

    자세한 내용은 증권대행부에서 볼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무상증자는 무엇인지

    발행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꾸욱!!!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