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해외 DR 이란 무엇인가?
    Money 2020. 11. 26. 14:54

    안녕하세요

    K_아재 입니다

     

    이번엔 해외 DR 이란 무엇인에 대해 알아 보려 합니다.
    주제가 Money 인 만큼 주식에 관련한 내용이 많네요^^;

    주식을 거래하다보면 뉴스나, 시세에서 DR이란 표현을

    심심찮게 봅니다. 문득 또 호기심 많은 아재는 폭풍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DR이란? (Depositary Receipts)


    "

    해외투자자의 투자편의를 위해 국내에 증권을 보관하고

    이를 근거로 해외현지에서 발행하여 유통시키는 증권으로

    일반적으로 주식을 근거로 하여 발행하므로 주식예탁증서로 불립니다.

    "

    예를들면...

    삼성전자 주식은 한국의 증권거래소에 있지만 이주식을 근거로

    DR 증서를 해외인 미국증권 거래소 유통을 시킵니다.

    DR증서는 현지에서 거래를 하는데

    마치 한국에서 거래하는것과 같은효과를 가진 증서를 말합니다.

    이해가 될까요? ㅎㅎ


    특징을 살펴보면


    원주와 동일한 권리(배당, 의결권)를 보유

    원주로의 전환이 가능

    DR발행시 즉각적인 매각 효과

    가 있습니다.


    이러한 DR의 장점, 단점은...


    장점 : 광범위한 투자자를 대상으로 대량물량 매각 가능, 발행기업의 대외인지도 제고

    단점 : 복잡한 발행절차 및 발행시기에 탄력성이 작음, 시가대비 일정률(5~10%)의 할인


    이 있습니다.


    DR은 크게 아래와 같이 구분합니다.


    1. ADR (American Depositary Receipts ) : 미국에서 발행되어 유통되는 DR

    2. Sponsored DR : 발행회사의 요청에 따라 예탁기관이 해외시장에서 발행하는 DR

    3. Unsponsored DR : 발행회사의 동의 없이 발행회사의 주식을 보유하는 투자자들이 신청에 의해

    예탁기관이 발행하며, 발행관련비용은 투자자가 부담함

    4. EDR (European Depositary Receipts) : 유럽시장에서 발행되는 DR

    5. GDR (Gloval Depositary Receipts) : 미국시장과 유럽시장 동시에 발행되어 유통되는 DR

    6. KDR (Korean Depositary Receipts) : 한국시장에서 발행되어 유통되는 DR


    DR 발행효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발행회사 측면

    회사와 회사제품의 지명도 상승

    자금조달시장의 다양화

    경영권침해 우려가 적은 증자수단

    주주에 대한 통지 등 사무집행의 편의


    # 투자자 측면 

    주주권 행사의 용이

    회사정보에 대한 접근용이

    양도의 편의

    환전이 불필요


    # 증권시장 측면 

    새로운 시장제공

    효율적시장


    11월 25일자의 해외 DR 가격입니다.



     

    지금까지 해외 DR은 무엇인지?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꾸욱!!!




    댓글

Designed by Tistory.